본문 바로가기

정보

당근마켓에서 사기 당하지 않는 방법

반응형

'동네 인증'을 기반으로 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여겨지던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서 조직적인 중고 사기가 의심되는 피해가 다수 발생했습니다

특히 사기에 이용된 판매 계정들은 실제로 수십 건의 판매 이력과 후기가 있는 계정이어서 피해자들은 속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는 수년 전부터 다른 사람 명의의 계좌로 돈을 입금받은 뒤 물건을 보내지 않고 잠적하는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 유행해오고 있습니다

물건을 판매하는 척하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명의를 빌린 계좌로 돈을 입금받은 뒤 연락이 두절되는 방식은 전형적인 중고거래 사기 수법인데요

이런 수법은 중고나라 등 여러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고 거래 플랫폼 중 동네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당근마켓은 상대적으로 신뢰가 높은 편입니다

GPS를 기반으로 '동네 인증'이라는 절차를 거치고 거래 후기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인데요

하지만 이런 당근마켓에서도 전형적인 사기 행각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근마켓도 더 이상 중고 사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이번 중고 사기는 당근마켓에서도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국에서 여러 계정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습니다

사기 일당이 사용한 판매자 계정은 실제로 당근마켓에서 거래 실적이 있는 계정들이었는데요

당근의 안정장치가 사기 조직에 오히려 활용당한 셈입니다

 

피해자들은 사기 일당이 실제 사용 중인 계정을 해킹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당근마켓 특성상 동네 인증이 필수적인데 실제 사용 중인 계정을 해킹하지 않고서는 전국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인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해당 계정들은 사기 피해 신고가 접수되자 부적절한 서비스 이용 사유로 이용 정지 중인 사용자로 분류되기 시작했습니다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당근마켓은 사기 행위가 발견되는 즉시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고 채팅을 통해 경고 메시지도 보내는 등 나름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사기 전력이 없는 계정을 활용하면 현실적으로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입니다

당근마켓에서 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거래나 택배 거래보다는 직거래를 권장합니다

 

1, 상대방의 온도, 매너등급 확인하기

당근마켓에서의 온도, 매너등급 신뢰도를 의미합니다

당근마켓 가입 시 기본 온도는 36.5˚인데요

리뷰와 좋은 평가를 서로 주고받으면 점점 온도가 올라갑니다

 

당근마켓을 거래하면 등급처럼 거래한 사람에게 평가를 할 수 있고 그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가능하면 거래하기 전 그 사람의 온도나 매너 등급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2, 직거래 위주로만

당근마켓은 동네에 있는 사람과 직거래만 장려합니다

택배 거래는 되도록이면 하지 말라고 당근마켓에서도 권유하고 있는데요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비대면 거래나 택배 거래를 요구할 때는 한 번은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직거래 시 그냥 간단하게 외관만 보고 괜찮다고 생각하고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가전제품을 거래하거나 의류, 핸드폰 등을 거래하는 경우 당연히 정상이라 생각하고 거래를 하는데요

하지만 직거래를 하다 보면 물건 확인을 하지 않고 집에 와서 확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중에 물건을 확인했을 때 보이지 않는 하자가 있거나 기능상에 문제가 생겨서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인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지는데요

 

이런 상황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 판매자가 보는 앞에서 물건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지, 흠집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큰 하자가 있음에도 판매자가 말하지 않는 경우라면 환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상품권, 기프티콘 

흔히 당하는 사기 중 상품권이나 기프티콘 사기가 있습니다

상품권이나 기프티콘은 사진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특성 때문에 직거래보다는 당근페이나 계좌이체로 미리 돈을 지불하고 후에 전송받습니다

 

거래 후 받은 상품권이나 기프티콘을 사용하려 했을 때 이미 사용한 제품이라고 오류가 뜬다면 사기를 당한 것이니 주저 말고 경찰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상대방이 사기를 치고 탈퇴를 했다고 걱정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걱정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당근마켓에서 채팅한 내용은 전부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경찰서에 가서 사건 접수를 하면 당근마켓에서도 협조를 해줍니다

이렇듯 상품권과 기프티콘 사기를 당했다면 가장 먼저 경찰서에 신고를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4, 당근페이 

당근마켓의 간편 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악용한 먹튀 사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구매자가 한 번 송금하면 판매자가 환불에 동의하지 않는 한 돈을 되돌려 받을 수 없는 허점을 노린 것인데요

서비스 제공자인 당근마켓 측의 고객 피해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경찰서에 신고하는 것 외에는 구제 방안이 없어 소비자들이 답답해하고 있습니다

 

당근페이는 별로 링크를 통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판매자와의 채팅창에서 '송금하기' 버튼을 누르면 간편하게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당근페이 서비스 출시 때 '개인정보 노출, 수수료 없이 채팅창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이뤄지는 송금'을 장점으로 내세웠는데요

당근페이는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말하지 않아도 되고, 현금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이용자 편익 증대 차원에서 당근마켓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당근마켓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해 개인 계좌가 아닌 당근페이를 통해 판매자에게 송금했다가 사기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상대방 계좌를 모르는 데다 돈을 받자마자 탈퇴하는 경우까지 생겨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막막할 수밖에 없습니다

간편함 보다는 돈이 오가는 거래이니만큼 복잡하더라도 좀 더 안전장치가 있는 거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5, 문고리 거래

문고리 거래란 쉽게 말해 물건을 문고리에 걸어둔다는 의미인데요

직거래를 하고 싶지만 부득이한 사정이 생겼을 때 비대면 거래인 문고리 거래를 많이 합니다

직접 거래자와 만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점에서 문고리 거래를 많이 하는데요

하지만 문고리 거래도 사기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먼저 상대방의 당근 온도를 확인해 신뢰가 가는 사람인지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당근 온도가 36˚ 전후이거나 30˚ 아래라고 한다면 의심해 보는 것이 좋은데요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세상일은 모르는 거니까요

 

두 번째는 실제 거주하는 집의 주소는 최대한 알려주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문고리 거래여도 실제 거주 중인 집 주소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것은 좀 꺼림칙한 일인데요

이럴 때는 다른 방법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본인이 105호에 살고 있다면 1층 복도 입구 쪽이라든지 엘리베이터 근처나 소화전에 놔두고 가라고 하는 것입니다

아니면 CCTV가 있는 경비실에 맡기라고 요청하는 것도 좋습니다

 

6, 택배 거래 시 유의사항

요즘에는 당근채팅이나 당근마켓 PC버전을 이용해 타 지역에 있는 사람과 거래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이때 되도록이면 택배 거래는 하지 말아야 하는데요

택배 거래는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먼저 돈을 입금하면 판매자가 물품을 택배로 보내주는 시스템입니다

이때 택배를 발송했다는 확인서인 택배 송장을 구매자에게 보내주는데요

택배 발송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거래이지만 만약 판매자가 나쁜 마음을 먹고 돈만 받고 나 몰라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우체국이나 편의점 등을 통해 택배를 발송했다고 발송장을 보내준다고 다 믿으시면 안 됩니다

송장을 받으면 그 즉시 조회하고 안심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기꾼들은 이를 노리고 접근합니다

사기를 치려고 마음먹은 사람들은 택배 송장을 받은 직후 갖은 이유를 대서 택배를 취소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송장을 받아 한 번 조회를 해보는 것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몇 시간 후 다시 조회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중고나라 당근마켓 사기유형 주의하세요!! 사기꾼 포토샵으로 참교육

7,  당근마켓 사기 신고하기

당근마켓에서 사기를 당했을 때 신고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근어플 실행 후 신고하려는 사람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상단 오른쪽에 있는 점 3개 버튼을 클릭한 뒤 신고를 하면 됩니다

사기-신고하기사기-신고하기
사기-신고하기사기-신고하기
사기 신고하는 방법

 

사기당하지 않게 미리 알아보기

 

중고거래는 내가 사고 싶은 물건을 조금 저렴한 가격에 구매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사기에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나는 괜찮겠지"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여전히 당하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물품 거래 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가격이 조금 저렴해도 몇 번이고 확인을 해보아야 합니다

몇 천 원 아끼려다 몇 십만 원의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찰청 사이버 수사국 홈페이지에 접속을 한 후 상단에 사기 의심 전화 계좌번호 항목에 거래 대상 휴대폰 번호 또는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사이버 사기 피해 신고 여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와 계좌번호를 입력하면 최근 3개월 동안 3회 이상 신고 접수된 번호와 본인이 입력한 번호를 비교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기를 당했음에도 소액이라 신고 접수를 하지 않은 분들도 꽤 많기 때문에 모든 결과에 대해서 사기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는 어떻게든 사기를 예방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이런 방법으로라도 사기 조회를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홈페이지 ↓↓↓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홈페이지

★ KT114 스팸/범죄/사기 조회 ↓↓↓

KT114 스팸/범죄/사기 조회

만약 사기를 당했다면 지체 없이 신고하세요

작은 돈이라도 신고를 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또 다른 사람에게 사기를 칠 수 있습니다

 

★ 사기를 당했다면 사이버범죄 신고하기 ↓↓↓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

 

스팸, 범죄, 사기 조회 사이트는 중고거래를 많이 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사기라는 것은 우리가 아무리 피하려고 노력해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라도 예방할 수 있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