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집 건너 마라탕 가게가 있는 요즘
마라탕은 몇 년 전부터 핫한 음식인데요
'음식의 BTS'라고 불릴 정도로 모든 세대에게 인기가 좋습니다
하지만 인기와 반대로 몇몇 마라탕 가게의 위생상태는 눈살을 찌푸릴 정도로 엉망입니다
"배달시킨 마라탕에서 애벌레가 나왔다, 재료가 오래되었는지 한입 먹고 더 이상 먹지 못했다"는 글이 커뮤니티에 종종 올라올 정도로 현재 마라탕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3~6개월 동안 소스통 청소를 안 하고, 1년 동안 환풍구 청소를 하지 않으면 이렇게 지저분한 상태가 됩니다"
서울 종로에 위치한 마라탕집 점주 A 씨에게 그동안 언론에 보도됐던 일부 마라탕 업체의 위생 상태에 관해 묻자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재료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널브러져 있는 모습, 불결한 소스통 등 몇몇 마라탕 음식점의 위생 상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위생 점검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식약처가 마라탕 업체를 대상으로 위생 점검을 실시한 결과, 식품 위생법을 위반한 51곳이 적발됐습니다
적발업체 중엔 마라탕집이 29곳으로 가장 많았는데요
식약처 관계자는 "양꼬치, 마라탕, 치킨 등 배달음식 전문점 조사 대상 가운데 마라탕 업소가 가장 많았다"라며 "원료보관 위생상태가 불량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환풍구 기름때 등 주방상태가 불청결한 경우, 소스류 뚜껑을 열어두고 방치해 보관하는 경우 등의 적발사유가 있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식약처는 지난 2019년에도 마라탕 업체와 마라탕 원료를 생산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위생 점검을 실시했는데 그때도 63곳 중 37곳이 적발됐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 수입산고를 하지 않은 원료로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기한 표시도 하지 않은 채로 마라탕 음식점에 판매하다 적발된 사례 ◆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건두부 제품을 제조 ◆ 튀김기 등 기계와 환풍기 등 조리 시설 전반이 불결한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 ◆제조연월일 미표시 제품 사용 등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점주 A 씨는 "마라탕을 판매하는 음식점 중 위생 관리를 소홀히 하는 음식점이 있는 것은 분명히 맞다"라면서도 "그러나 모든 마라탕집 위생이 좋지 않은 것처럼 보도되고 있는 건 억울하다"라고 말했습니다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재료를 보관하거나 조리하면 애벌레 등의 이물이 발견될 가능성은 커집니다
강원대 식품생명공학과 오덕환 교수(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부회장)는 "마라탕 속 이물 사고의 가장 보편적인 원인은 원재료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서 난 사고다"라며 "원재료를 오남용으로 보관하는 것 외에도 올바른 방법으로 재료를 전처리하지 않으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마라탕은 주재료로 다양한 채소를 사용하는데요
이 같은 재료를 꼼꼼히 세척하지 않을 때 이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배춧잎에서 흔히 발견되는 애벌레가 대표적 사례인데요
용산구에서 마라탕집을 운영하는 점주 B 씨는 "아무리 세척한들 배추 속잎에 있는 애벌레까지 하나하나 다 잡아내긴 힘들다"며 "애벌레가 마라탕에서 나오는 경우는 다소 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손님들도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넘어가 주는 편"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덕환 교수는 "마라탕에 쓰이는 채소들은 수분이 많기 때문에 상하기 쉬운 재료"라며 "음식의 안전성과 신선도가 음식의 품질을 결정하는 만큼 식재료들을 항상 꼼꼼하게 세척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위생 점검에서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신선하지 않은 재료를 이용해 조리하는 업체들도 적발됐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식중독 위험을 높이는데요
서울여대 식품응용시스템학부 강태선 교수는 "가령 배추 밑이 썩었을 때는 버려야 하는데 그냥 쳐내고 사용하는 등 버려야 하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유통기한 지난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등의 사례"라며 "제조년월일을 표시하지 않은 재료를 들여와 마라탕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당연히 어느 재료건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이 있어야 하고 표시가 없다고 하면 보관 자체를 하면 안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식품을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과 함께 제품의 특성에 맞게 설정된 보관기준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만일 냉장 제품이 개봉되거나 적정 온도를 벗어난 상태로 보관됐다면 제품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식약처는 이번 위생 점검에 적발된 업소에 대해 별도의 처분을 내리고 6개월 이내에 위생 점검을 다시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배달앱상에서도 해당 내용을 표시할 계획입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위생 점검과 같은 불시 점검 등으로 위생이 좋지 않은 음식점에 대해 별도의 처분을 내리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점주들을 대상으로 한 식품위생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며 "물건이 들어오면 유통기한 등 식품표시사항을 확인하고 모든 식재료를 올바른 방법으로 세척해 적정 온도에 맞게 보관하는 게 옳지만 이를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매번 감시하긴 어려워 여타 다른 음식점처럼 점주의 양심에 맡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식당에 음식을 먹으러 가면 위생관리가 철저하다는 문구를 적어놓은 가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이 먹는 음식이기에 위생을 철저하게 챙겨야 하는 식당!
하지만 몇몇 양심 불량한 사람들 때문에 배달 음식은 아예 시켜 먹지 않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음식을 가지고 장난치는 사람들
그에 합당한 처벌을 받았으면 좋겠네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삼각대 추천 HOT 5 (0) | 2023.03.27 |
---|---|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0) | 2023.03.15 |
논두렁 밭두렁 태우기는 이제 그만! (0) | 2023.03.12 |
미성년자 카드 발급 시 알아두면 좋은 것들 (0) | 2023.03.09 |
3월의 봄 축제 제24회 양평단월 고로쇠 축제가 열립니다 (0) | 2023.03.07 |